공통과정
한양인터칼리지 신입생이 대학 생활과 성인으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Life Mindset Design 교육과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이 학문적 성공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성장과 목표 설정을 통해 의미 있는 삶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이 자신의 열정과 관심을 발견하고, 다양한 커리어 및 인생의 궤적을 Odyssey Planning을 통해 구체화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은 자신에게
가장 의미 있는 삶의 가치를 찾고, 그에 따른 Persuasive Life Design을 만들어가는 데 초점을 맞추어 대학 생활의 시작부터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인생의 방향을 명확히 설정하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Life Project는 학생이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디자인하고,
성인으로 사는 삶을 성공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Foundation Builder
System Thinking and Design Thinking
모든 학문은 인과관계 (causality)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현상을 설명하거나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인류는 연역적/귀납적 추론과정을 만들어
냈고, 이것이 모든 학문의 기본 구성요소로 작동하게 되었다.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요소들이 서로 복잡하게 얽히고,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들이 많아짐에
따라 단순한 선형적 추론만으로는 모든 것을 설명하거나 예측하기 어려워졌다. 이러한 복잡계 시스템(Complex System)으로 변화한 사회현상을 분석하고 복잡한
문제(기후변화 및 정치적 극단주의 등)를 풀기 위해 디자인적 사고가 주요한 추론방식으로 등장하였다. 본 교과목에서는 복잡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창의적 추론과정을 실제 사회현상들에 적용하여 한양인터칼리지 학생이 가져야 하는 융합적 시각과 융합을 위한 협업적 태도 함양에 초점을 둔다.
현대 대학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인류가 만든 이론적 지식을 빠르게 학습하고, 이를 응용하여 학문적/산업적 가치를 생성하는 것이었다.
이제는 이러한 수동적 산업 수요대응에서 벗어나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새로운 대안들을 발굴하여 인류가 당면한 다양한 위기 요소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대학교육의 목적이 선회하고 있다. 본 교과목은 자신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명확하게 표현하고, 타인을 어떻게 설득하여 수용할 수 있을 지
프로토타이핑 능력을 경험하게 한다. 총 3개의 관점(Visual Prototyping, Functional Prototyping, Virtual Prototyping)을 통해서 창의적 대안개발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서 타 교과목(Unified Systems Sciences, Algorithmic, Computational, and Data Thinking, Global Critical Anthropology,
Life Project 등) 프로젝트에서의 실전적 적용을 목표로 한다.
과학적 현상을 한쪽 측면의 렌즈로만 분석하여 세부적 응용 및 영향을 예측하는 것에서 벗어나, 물리 (Physics), 화학(Chemistry), 생명(Bioscience)이 현대과학
문명의 중요한 도구들로써 종합적으로 사회현상을 설명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과학 및 사회의 구성요소 간 종합적 이해로 설명되는
현상(예: 질소 비료를 통한 농업 생산성 향상, 채식주의와 환경윤리, 나노기술 암치료의 인간 위해요소 분석, 다양한 요구사항이 겹치는 우주선 발사에 대한 의사
결정 등)을 선정하여, 이를 물리-화학-생명-심리라는 다중렌즈를 통해서 설명한다. 총 8개의 Scene을 통해 학생은 다양한 자연과학적 방법론을 이해하고 여러 현상에
이를 적용할 수 있다.
전통적인 미적분학 수업이라 볼 수도 있지만, 2가지 관점에서 기존의 미적분학 수업과 차이를 두었다. 첫째, 문제를 손으로 직접 푸는 방식에서 벗어나 공학용
소프트웨어와 연결하여 더 복잡하고 정교한 형태의 미적분학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미적분학의 실제적 응용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총 8주
동안 본교의 전체 학문분야에서 사용되는 미적분학 예제를 관련 학과의 전문가가 직접 강의하도록 구성하였다(예: 자유형 수영에서 팔을 한번 젓는 행위가 만들어
내는 물의 부피 및 이를 통한 수영 속도의 증가, 인구감소가 만들어내는 경제규모의 감소 등). 이러한 도전적인 방식의 수학 교육을 통해 학생은 수학이 만들어
내는 효과성을 인식하고, 이를 자신의 열정과 관심 분야에 투영할 수 있다.
Data Decision Maker
Algorithmic, Computational, and Data Thinking
현대사회의 키워드는 Data, AI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수집/관리/구현하기 위해서는 SW적 능력 뿐만 아니라, 통계적 직관력, 시각적 표현법(visual representation)등의
수학적/심미적 내용이 동시에 제공되어야 한다. 본 과정을 통해 학생은 Python/C등의 기본적인 SW능력을 함양하고, 이를 통해서 Data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
새로운 지식을 만들 수 있는 능력(Intelligence)을 직접 구축해 본다.
Creative Communicator
Global Critical Anthropology
Critical Reading, Critical Writing, Critical Presentation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여 타인을 이해시키고 합의를 이끌 수 있는 설득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며, 인류학, 비판적 표현, 다중모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글로벌 이슈에 대한 학제 간 이해를 제공하는 교과목이다. 소크라테스식 대화법(문답법)을 기반으로
System Thinking and Design Thinking 교과목을 통해서 함양된 비판적 사고와 표현을 넘어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강조함으로써 학생이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깊이 있는 소통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둔다.
Creative Communicator
Global Research Immersion
1학년 겨울 방학 동안 해외 명문 대학에서 진행하는 본 교과목은 디자인 사고의 관점에서 한양인터칼리지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융합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글로벌 환경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 과제를 수행하며, 글로벌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문화 교류 장려를 목표로 한다. 학생은 주최국과 한국 간의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환경적 차이를 이해하고,
국제적인 관점에서 자신이 선택할 전공을 바라볼 수 있는 넓은 시야를 갖게 된다.
영어 능력 향상이 필요한 약 20%의 학생에게 제공하는 영어, 특히 말하기와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이다. 이 과정은 대학 수준의 학문 환경에서 학생이 성공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한양인터칼리지 1학년이 영어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과 영어권 국가의 학생과 함께 공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한다.